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

반응형

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자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보다 미만인 경우 , 일을 하지만 생활이 어려운 분들에 세 최소한의 생활비를 지급해주는, 세금을 반환해주는 복 저 정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자녀장려금이란 자녀의 양육에 지원하기 위해서, 부부합산의 총소득이 4000만 원 미만인 경우,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에 정려 금이 지급이 되는 제도입니다. 요즘은 정말 어려운 사회가 돼버린 것 같습니다. 코로나 때문에 자영업자들도 많이 힘드시고, 직장에 취업하기도 힘이 듭니다. 물가도 많이 올라서 여유로운 생활이 쉽지 않습니다. 정부에서 장려금이라든지 이런 복지정책이 있으면 내가 조건이 된다면 자격이 되는지 알아보고 꼭 혜택을 받아야 합니다. 

 

 

-목차-

근로장려금, 자녀장려금 신청자격

신청방법

지급액알아보기

지급절차

01234567891011121314

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신청자격

 

1. 현재 근로, 사업 종교인 소득이 있는 거주자인 경우

단독가구: 가족 원구성- 배우자와 부양자녀, 70세 이상의 직계존속이 없는가 구인 단독가구

홑벌이 가구: 가족 구분- 배우자의 총급여가 3백만 원 미만인 가구에, 배우자 or 부양자녀 or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족 구성원

맞벌이 가구: 배우자의 총급여가 3백만 원 이상인 가구에, 신청인과 배우자가 각작의 총급여가 3백만원 이상인가구

 

위의 신청자격에 배우자는 법률상의 배우자를 말하며, 부양자녀는 만 18세 미만, 연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이어야 하며,  동일한 주소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이며 연간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을 말합니다. 

직계존속은 70세 이상의 직계존속으로, 각각 연간 소득이 100만 원 이하, 주민등록 동거를 설명합니다.

 

2. 소득

가족의 구성원에 따라서 연간 부부합산 소득금액 기준으로 책정하여 자격을 정합니다.

 

3. 재산

2021년 6월부터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산의 총액이 2억 원 미만이 여야 합니다.

재산의 총액으로는 주택, 토지, 자동차, 전세금, 금융자산, 부동산, 회원권 등을 의미합니다. 

여기서 중요한 부분입니다. 재산을 측정할 때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. 주택은 간주 전세금과 실제 전세금 중에서 적은 금액으로 측정하며, 상가의 경우에는 실제 전세금만 평가합니다.

그러나, 신청자와 배우자의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임차한 주택은 간주 전세금만으로 평가합니다.

01234567891011121314

4. 신청제외 대상자

-아래에 해당되는 사람은 장려금 신청에서 제외가 됩니다.

-국적이 대한민국이 아닌 자 <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와 법적으로 결혼한 사람,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는 신청 가능>

-21년 중 다은 거주자와 부양자녀인 사람

-배우자를 포함한 거주자가 전문직 사업을 영위 한자.

 

 

신청방법

정기신청기간: 2022년 5월 1일~ 5월 31일 

기한 후 신청기간: 2022년 6월 1일~ 11월 30일

정기신청방법 < 신청안내문을 받은 경우>

정기신청방법 < 신청안내문을 못 받은 경우>

01234567891011121314

 

지급액 알아보기

<<<<근로장려금>>>>

전년도 연간 부부총 급여액을 기준으로 근로장려금 산정표를 참고하여 계산합니다.

 

<<<<자녀장려금>>>>

전년도 연간 부부총급여액을 기준으로 자녀장려금 산정표를 참고하여 계산합니다.

중요사항>>>지급액 감액과 체납 충당

 

01234567891011121314

지급절차

장려금신청서과 첨부서류들이 다 들어가면 심사를 거친 후 신청기한의 3개월 이내에 결정을 하여 5월 신청은 9원 말까지 지급이 됩니다. 

정기지급은 9월 말까지

시한 후 지급은 신청하신 달에서 4개월 이내에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.

많은 분들이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https://www.hometax.go.kr/websquare/websquare.wq?w2xPath=/ui/pp/index_pp.xml

 

국세청 홈택스

 

www.hometax.go.kr

 

반응형